poly.m.ur

architecture

urbanism

poly.m.ur is an architectural practice started in London in 2007 and currently operating the studio in Seoul. The practice has completed the Art and Craft studios (education), Living Knot (residence), Jugong Pavilion (Incheon global fair and festival), Honeybee Lounge(multiplex cinema), SSH Housing, and Sungbok Retails. The works are published and exhibited internationally. The practice has been awarded in numerous international and national competitions such as Beirut house of art and culture, Fiscalia of Madrid, Jeongokri Prehistoric museum, SH Sadang dormitory housing, Jeju world heritage centre, cultural heritage center in Jeju university.

폴리머 건축사사무소는 2007년 런던에서 설립되었으며 현재는 서울을 주무대로 활동 중인 건축디자인 집단이다. 건축설계를 3대째 이어오고 있는 김호민 소장을 필두로 한 폴리머는 동대문 JW 메리어트 호텔, 용인 일레븐힐즈, 허니비라운지, DDP 키오스크, 한남용, 신사블루스 등을 통해 반복적인 패턴이나 시스템을 통한 설계를 실험해왔다.


Homin Kim

Born in 1973 in Seoul, Homin Kim is a registered architect based in Seoul. He studied in Architectural Association in London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and has worked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for more than 15 years. Between 2004 and 2007, he worked as an architectural designer for renowned practice such as FOA, where he played key roles for numerous well published projects and from 2007. Homin has been working as a director of his own practice Poly.m.ur which has its base in Seoul. The work of his practice has been exhibited and published internationally and has won numerous competitions. In 2008, He also taught at Cornell University in Ithaca as a teaching associate with Ciro Najle for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grams.

김호민

건축가 김호민은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런던 에이에이스쿨에서 설계를 공부했다. 주요 경력으로는 대학 졸업 후 3년간 대우건설에서 시공경험을 쌓고, 알레한드로 자에라 폴로와 파시드 무사비가 이끌던 에프오에이(런던)에서 실무를 했으며 2008년 귀국해 건축사무소 poly.m.ur 를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다. 영국 왕립건축사협회에 등록된 영국 왕립건축사로서 에이에이스쿨, 코넬대학교, 서울대학교, 경기대학교, 건국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등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기도 했다. 2010 년 대한민국을 이끌 젊은 건축가 10팀 중 하나로 건축문화에서 AT*10(Ten Emerging Korean Architects), 픽셀하우스에서 ‘뉴욕, 런던, 서울의 도시재생 이야기’를 기획하여 14 명의 다른 건축가들과 함께 출간했다. 2017 년에는 공간지에서 세포적 건축이란 제목으로 조병수, 김승회 건축가와 단행본으로 출판하기도 했다. 2009 년부터 2010 년까지 문화체육관광부의 공공디자인 조성사업 평가위원, 공공디자인 엑스포의 자문위원, 2012년부터 2015년까지는 서울시 공공건축가로 활동했다.


Hyunju Lim

Hyunju Lim is a certified architect in South Korea. She has 10 years of design and construction manager experience at Poly.m.ur, working on various projects, and currently works as a partner for the company.
Hyunju won the prize for the competition organized by the Ulsan’s National Garden Support Center last year, additionally a new commercial building she designed in Yeoksam-dong is about to be completed.

임현주

임현주는 대한민국 건축사이다. Poly.m.ur에서 다수의 프로젝트에 설계와 감리 업무로 10년간 경험을 쌓고, 현재는 Poly.m.ur의파트너로서 활동하고 있다. 작년에 울산정원지원센터 현상설계에 입상하였고 역삼동에 설계한 근린생활시설이 완공을 앞두고있다.


Engineer-Architect

I am an architect and also an engineer. At the start of my career, there was a time when I was operating under a misguided belief that my job was to create good designs and it was up to contractors to carry them out. To be honest, some of my designs lacked contemplation of execution, and it took time for me to realize that architecture tells its own stories.

As professed in his fabulous book titled ‘Engineer Imagines”, Peter Rice, the legendary structural engineer with Ove Arup and Partners, was honored to be referred as Architect-Engineer. He considered engineer to be more than just offering one solution for a problem. Creativity to come up with diverse solutions was important. Engineers who simply relying on structural engineering calculations to come up with solutions are like technicians; what makes a true engineer is the ability to contemplate various materials and maneuvers to offer unique and differentiated solutions.

Following my graduation from university, I started my career as a field engineer for a construction company. Whenever I whined about the difficulty of working the field, my father would reassure that the experience would be of a big help for my career as an architect down the road. The anecdote didn’t really impress me at the time, and it was only recently when the idea became crystal clear. Executing good architecture requires architects to be profoundly involved in and exercise control over the construction process as an Engineer-Architect.

Shinsa Blues was a project where I carried out the duties of architect, general contractor and client. Architecture is not a one-man job, but too many heads butting against each other can certainly inflict massive headaches. But it was failures and disappointments of ineffective coordinating and communication leading to not getting what I wanted out of projects that propelled the bold decision to execute my own design. From design to completion took nearly 4 years of ups and downs, but it provided a prime opportunity to project everything I had learned and trained until that time.

Prospect of turning 40 leaves me deep in contemplation and exploration into my career trajectory as an architect. I gave my best to each and every projects working with various clients and general contractors operating my own studio for the past 10 years or so, but the results did not necessarily translate to satisfaction. Designing is hard, but the real challenge was communicating effectively with clients and contractors. I had to often evaluate the fine line between being a ruthless architect who insisted his own ways or an architect who is eager to please others and couldn’t stand up for his vision. Problem was that trying to respect other stakeholders often came at a price of scarifying quality. Trying to bargain a consensus with budget-conscious clients and profit-conscious contractors proved to be most difficult. Working with capable and trustworthy contractors doesn’t always make an architect’s job easier. To achieve the optimal quality of architecture, architects have to come up with his or her own answers when facing the challenge of communication and persuasion.

Being an architect to design and build his own building was a blessing in disguise. I was never naïve to believe it would be easy, but what awaited me was more challenging and nerve-racking than I imagined. Construction of a building is typically believed to require about 30 stages of process. Working with 20 or more contractors required efficient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of work process, which was stimulating but draining at times. As the foreman, I also had to handle complaints and get my hands dirty with site clean-up. But at the end of the day, tasked with triple duties of architect, client and general contractor proved to be an experience of a life-time. Balancing the desire of an architect who envisions quality as well as client’s concern over budget and contractor maneuvering quality and cost over deadline was a constant juggling act. Some decisions had to be made quickly, but I still had to evaluate the positions of 3 stakeholders. I couldn’t just push my design visions as an architect or demand more floor area for less budget. When it was about design, I put on my thinking cap as the architect. For problems with budget and timeline, I acted as the client. As the general contractor, I did my best to execute the design with budget and functionality in mind. When it was all said and done, architect of Shinsa Blues was satisfied with the result. But the client didn’t save as much money as he had hoped and the general contractor was stuck with problems related to a delay of almost 6 months. When combined, I walked away with a better understanding of 3 different stakeholders of architecture.

Conductor of an orchestra leads performance of beautifully choreographed music by communicating with performers of different instruments. It’s his job to bring out the best talent of each performer and blend the talents to create harmony as a whole. The analogy can be applied to an architect. Working with a myriad of stakeholders including client, general contractor and other subcontractors is like a conductor of an orchestra. The ultimate goal is ensuring the architectural integrity of quality. Like the way muddy and murky water is a home to beautiful swans, magnificence of architecture is being created in dirty and messy sites. My experience of serving as architect, client and general contractor for Shinsa Blues taught me one lesson that may be most ordinary and obvious: architecture speaks through architecture.


엔지니어-건축가

난 건축가이자 엔지니어다. 막 활동을 시작했을 땐 그림만 잘 그리면 시공사가 실현시켜줄 것이라 착각했던 거 같다. 어떻게 만들지에 대한 깊은 고민 없이 설계한 적도 많았는데 건축은 스스로 얘기한다는 걸 시간이 좀 지나서 깨달았다.

오버 아룹의 전설적인 구조 기술자였던 피터 라이스는 그의 멋진 책 “엔지니어는 상상한다 (Engineer Imagines)”에서 스스로 건축가-기술자(Architect-Engineer)로 언급되는 것을 영광스러워 했다. 그에게 엔지니어는 같은 문제에 대해 단순히 하나의 정답을 제시하는 사람이 아니다. 중요한 것은 다양한 해법을 제시할 수 있는 창의성이다. 구조 공식을 써서 정답을 찾는 건 기술자지만 다양한 재료와 구법을 고민하며 독창적인 해법을 제시할 수 있어야 진정한 엔지니어라 했다.

대학 졸업 후 현장 기사로 건설사에서 사회 생활을 시작했다. 당시 힘든 현장 생활이 마음에 들지 않아 불평을 늘어 놓을 때면 아버지는 나중에 건축가가 되었을 때 큰 도움이 될 거라 하시곤 했다. 당시엔 크게 와 닿진 않았지만 최근에서야 깨닫는 게 있다. 좋은 건축을 만들기 위해선 시공 과정에 깊숙이 관여하고 컨트롤할 수 있는 엔지니어-건축가여야 한다는 점이다.

신사블루스는 건축가, 시공사와 건축주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했던 프로젝트다. 건축은 절대 혼자 하는 일이 아니지만 반대로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가는 것도 사실이다. 원활히 조율하고 소통하지 못해 만족할 만한 결과물을 얻지 못했던 경험들을 반면교사로 삼아 직영으로 시공까지 하게 됐다. 설계부터 완공까지 총 4년 여의 기간이 전혀 순탄치만은 않았지만 그동안 쌓았던 다양한 경험들을 녹여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40대를 얼마 남겨놓지 않은 건축가로서 어떤 방향성을 갖고 앞으로 나가야할 지 고민이 깊다. 지난 10 여년 동안 사무실을 운영하며 다양한 건축주와 시공사들을 만나 열심히 했지만 결과가 항상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었다. 설계 과정도 쉽지 않지만 건축주, 시공사와 어떤 자세로 소통할 지가 가장 어려운 점이었다. 의지가 확고하지만 고집스럽다 못해 이기적인 건축가와, 상대방의 의견을 잘 청취하지만 마음이 약해 디자인을 고수하지 못하는 건축가 사이에서 고민이 컸다. 그런데 상대방의 입장을 너무 이해하다 보면 퀄러티를 양보해야 하는 상황이 더 많았다. 예산 내에서 지어야 하는 건축주와 효율적으로 이익을 내야 하는 시공사 사이에서 조율하고 설득하는 일이 더 어려웠다. 좋은 시공사에 맡겼다고 다 해결되는 것도 아니었다. 건축의 완성도를 위해 앞으로 어떻게 소통하고 설득하며 대화할 지에 대해 스스로에게 대답할 수 있어야 했다.

건축주와 건축가, 시공사의 역할을 모두 한꺼번에 해보는 건 일생일대의 기회이자 불운의 시작이었다. 처음부터 만만하게 생각하지도 않았지만 그 과정은 매우 어렵고 지난한 일이었다. 집 하나가 완성되기 위해선 30개 정도의 공정이 필요하다고들 한다. 최소 20 여개의 협력업체들과 협의하고 순서를 정하며 현장 관리를 하는 건 재미있으면서도 모든 에너지를 쏟아 부어야 하는 일이었다. 현장소장으로서 주변 민원에 대처하고 정리정돈을 직접 챙기기도 했다. 하지만 건축가, 건축주, 시공사 세 주체의 입장을 동시에 고민해보는 것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이었다. 완성도 높은 건물을 짓고 싶은 건축가와 경제적인 여건이 고민되는 건축주, 좋은 건물을 짓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잘 알지만 약속한 시간과 비용을 맞추기에 급급한 시공사 사이에서 마음속 줄다리기를 하곤 했다. 신속히 결정 내려야 하는 찰나의 순간에도 각기 다른 입장들을 모두 고려해야 했다. 그렇다고 건축가로서 무조건 디자인만 중시하지 않았고, 건축주로 비용과 면적만 주장만 한 것도 아니었다. 디자인에 대한 결정은 건축가로, 비용과 시간에 대해서는 건축주로서 내렸다. 시공사로서는 디자인을 살리면서도 성능에 지장이 없도록 많은 고민과 노력들을 했다. 결론적으로 건축가는 만족할 만한 결과물을 얻었고, 건축주는 생각보다 비용을 절약하지 못했다. 시공사는 예정보다 반 년 정도 지연됨으로써 발생한 문제를 떠안게 되었다. 막상 실제로 지어보니 세 입장 모두 잘 이해할 수 있었다.

지휘자는 오케스트라의 다양한 연주자들과 대화하고 소통함으로써 조화롭고 아름다운 하나의 음악을 만들어 낸다. 각각의 연주자의 재능을 끌어냄으로써 디테일에 충실하고 전체를 아름답게 그려낸다. 건축가도 마찬가지다. 건축주와 시공사 외에 수많은 협력업체들 사이에서 훌륭한 지휘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완성도 높은 건축을 할 수 있는가 다. 마치 진흙 속에서 아름다운 백조가 태어나듯 거칠고 지저분한 현장에서 아름다움은 만들어지고 있었다. 신사블루스에서 세 가지 역할을 하며 깨달은 가장 평범하고 명백한 사실은 건축은 건축으로 얘기한다는 점이다.